지금 작성하고 있는 기사는, 페이스북 라이브 ( Face book Live )를 통한 생생한 이야기이다. 강의 시작 부분에, 선생님께서 ‘채식주의자’가 아닌 ‘채식인’이라고 해서 너무 반가웠다.

나 또한, 생태계와 나의 먹을거리에 대한 고민을 2-3년 전부터 하면서, 완전 채식을 실천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단기간 해외에 있을 때랑 달리, 한국에서는 채식을 할 때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 까다로운 친구라고 눈여김을 받을 때도 있었다.


그런 과정을 겪은 적이 있기에, 김진희 교수님이 소개해주신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과 ‘Begun'잡지는 내게 아주 친근한 책이었다. 사람들에게 자신이 채식주의자 혹은 채식인 이라고 소개하기 어려운 한국 사회에서 이 두 책은 먹을거리에 대한 고민을 깊게 한 사람만이 선뜻 보여줄 수 있는, 책들이었기 때문이다.

 

                            헬렌니어링의 소박한 밥상.jpg     Begun잡지.jpg

 

특히, 헬렌 니어링은 미국의 사회주의자, 근본주의자, 평화주의자로 여겨지는 ‘스콧 니어링’의 아내로 내가 존경하는 부부의 아내이다. 그들 부부는 먹을거리에 대한 자신들의 윤리의식을 실천하기 위해 평생 동안 노력하신 분들이다. 교수님께서도 이 책을 읽었다고 하시니 반가울 따름이었다. 게다가 한국에 아직 보편적이지 않은 채식 문화 잡지, ‘Begun'을 소개하셔서, “음식에 관해 많은 고민을 해오셨구나.” 라고 짐작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그림은 답이 아니라, 질문이다.”

 

폴 고갱, 긴 그림.jpg

 

 

교수님의 그림 설명은 화가로부터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정렬된 답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림의 제목 역시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라는 질문들로 꽉 채워진 이름이다.

 

고갱의 원시주의적인 그림은 우리에게 날것 그대로의 ‘나’자신을 생각하게 만드는 것 같았다. 실제로 우리는 어디서 왔고, 무엇이며, 어디로 가고 있는지는 항상 미궁 속에 남겨져있다. 내알학교에서 실천하는 프로젝트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지닌 그림이 아니었나 생각이 들었다. ‘질문’이 나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좋은 공부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교수님의 포럼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강렬한 메시지였다.

 

반고흐 명언.jpg

 

 

 

폴 고갱에 이어, 설명한 반 고흐의 명언은 ‘열정적인 삶’의 지향이었다. 교수님께서는 여러 가지 생동감 있는 기획을 내놓는 것을 좋아하시고, 실천하는 삶을 즐긴다고 하셨다. 생각해보면 지루함의 연속은 우리를 얼마나 무기력하게 하는지 모른다. 일방적인 주입식 수업이 그 예에 해당하지 않을까? 짧지만, 강렬한 열정은 나로 하여금 생기를 불어 넣는다. 교수님께서 소개해주신 글은 ‘삶의 정수’를 느끼게 해주는 뜻 깊은 문구였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jpg

 

 

대한민국의 어떤 학생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많은 돈을 들여가며 학문을 공부하는 대학생들에게 학업과 돈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며칠 전 수능 ( 2017 년도 )을 치룬 학생들과, 수시, 정시 등 여러 가지 갈래로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마음은 싱숭생숭 할 것이다. 나또한 원하든 원하지 않았든 늦은 수시를 지원한 시점에서 대학교에 들어갈 예상비용과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고자 할 때 드는 일정한 비용은 많은 부담으로 다가 온다.

 

한 예로, 해외 유학에서 졸업장을 받지 못한 채, 한국에 돌아온 것은 유학 실패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런 가정 문화 속에서, 나로 하여금 새로운 도전은 항상 많은 부담을 떠안게 만든다. 그래서 매번의 선택이 막중한 무게로 느껴지고, 그것을 책임감이라는 말로서 멋지게 마무리 해야만 한다는 중압감에 시달리기도 한다.

 

많은 대한민국의 청년들에게 공부가 집안의 경제력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 점에서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 해지는가’라는 물음을 자신에게 질문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개인적으로, 답답하지만 꼭 읽어 보아야할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떤 나라는 공부할수록 돈을 지원 받고, 어떤 나라는 공부함에따라 가정이 궁핍해지는 현실에 분노가 생긴다."

 

마지막으로, 내일학교의 발전을 위한 교수님의 솔직한 조언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은 포럼이었다.

 

 

photo_2016-11-20_16-48-45.jpg김진희.jpg

 

 

photo_2016-11-20_16-41-55.jpg

 

 

 

 

 

 

 

 

 

 

 

 

 

 

 

 

 

 

 

 

 

 

 

 

 

 

 

 

 

 

 

 

 

 

 

 

 

 

 

 

 

 

 


2050 미래교육포럼

매주 토요일, 각계각층의 전문가들이 내일학교에 방문하여 포럼을 진행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 [2050 미래교육포럼] 류현철 의사선생님 file 해달 2018.08.09 291
33 [2050 미래교육포럼] 대통령 글쓰기 강원국 저자의 글쓰기 학교 file 해달 2018.07.12 864
32 [2050 미래교육포럼] 대통령 글쓰기 강원국 저자의 "글쓰기 학교" file 해달 2018.08.14 330
31 [2050 미래교육포럼] 김종렬 교수님의 <창조> file 하늘태양 2016.11.04 255
30 [2050 미래교육포럼] 김영삼 '전문 크리에이터 디자이너로 성장하기' file 내일학교 2020.07.21 188
29 [2050 미래교육포럼] 김대중 박사 - 자유속의 질서 (불확실성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file 내일학교 2020.02.06 234
28 [2050 미래교육포럼] 김대중 박사 - 자유속의 질서 file 내일학교 2020.10.20 179
27 [2050 미래교육포럼] '현 통화제도와 공동체화폐의 새로운 전개’ 이길원선생님 file 내일학교 2016.11.16 178
26 [2050 미래교육포럼] '즐겁게 글쓰기' 장희정 작가님 1 file 내일학교 2016.11.29 752
25 [2050 미래교육포럼] '소수민족의 이해' 여행전문가 장 민정용미 선생님 file 내일학교 2016.12.02 164
24 [2050 미래교육포럼] ' 가난한 사회, 고귀한 삶 ' 인디고 연구소 윤한결 연구원 file 내일학교 2016.12.14 494
23 [2050 미래교육포럼] ' 1세대 가드너의 삶과 꿈' 이병철이사님 file 푸른바다 2016.10.29 128
22 [2050 미래교육포럼] <한빛 김진희 한의학 박사님> 을 듣다! file 하늘태양 2016.10.20 212
21 [2050 미래교육포럼] 새와 함께 날아오르다. [꾸룩새연구소 소장 정다미 ] file 해달 2018.07.26 3864
20 [2050 미래교육포럼] [류현철 의사선생님 “시력,시각,시야"] file 해달 2018.08.11 393
19 [2050 미래교육포럼: 엄숙희 순천만정원 총괄매니저] 내일학생들의 정원 고민에 단비같았던 포럼! 1 file 내일학교 2017.04.20 311
18 [2050 미래교육포럼 후기] 내 안에서 우러나오는 발표- 반은혜 아나운서님 file 마음♥ 2018.01.18 524
17 [2050 미래교육 포럼]"꽃의 힘, 정원의 힘"박성혜 작가(2017 쇼몽 가든페스티벌 '식생 색채와 조화상' 수상자) file 해달 2018.04.21 258
16 [2050 미래교육 포럼]"꽃의 힘, 정원의 힘"박성혜 작가(2017 쇼몽 가든페스티벌 '식생 색채와 조화상' 수상자) file 해달 2018.04.25 251
15 [2050 미래교육 포럼] 사회의 혁신은 어떻게? / 사회혁신추진단 황석연과장 file 벼리박성욱 2018.03.16 3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XE1.8.13 Layout1.1.5